자율주행 시장 판도 바꿀 ‘거물들의 만남’… GM-엔비디아 손잡다

제너럴모터스(GM)가 인공지능(AI) 반도체 강자 엔비디아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자율주행차 개발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양사는 18일(현지시간) AI 기술과 가속 컴퓨팅을 활용한 차세대 자동차, 스마트 공장, 로봇 개발 협력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제휴는 GM이 지난해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 ‘크루즈’ 운영을 중단한 이후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GM은 엔비디아의 첨단 반도체 기술력을 활용해 자사 차량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시가총액 3조 달러에 육박하는 엔비디아는 이미 BYD, 리오토, 지리자동차, 볼보, 토요타, 메르세데스-벤츠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용 반도체를 공급하고 있다. 테슬라보다 훨씬 높은 기업 가치를 자랑하는 엔비디아의 AI 기술력이 GM의 자율주행 전략에 새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율주행차는 카메라, 레이더, 센서 등에서 수집한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강력한 반도체가 필수적이다. 이 칩들은 물체 감지, 경로 계획, 주행 의사 결정 등을 담당하는 AI 모델을 구동한다.
GM은 이번 협력을 통해 엔비디아의 ‘Drive AGX’ 시스템온칩(SoC)을 레벨 2 이상의 ADAS에 탑재하고, 엔비디아의 ‘Drive’ 운영체제를 차량 내 화면 인터페이스에 활용할 예정이다. 정확히 어떤 AGX 칩을 사용할지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엔비디아는 초당 254조 연산이 가능한 ‘AGX 오린’부터 초당 1,000조 연산을 지원하는 최신 ‘AGX 토르’ 등 다양한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GM은 지난 1월 실적 발표에서 자사의 고급 운전자 보조 시스템인 ‘슈퍼 크루즈’를 탑재한 차량이 현재 36만 대에 달한다고 밝혔다. 크루즈 서비스 중단 후 GM은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던 초기 자율주행 개발 전략에서 보다 신중한 접근법으로 선회하는 모습이다.
현재 미국에서 규모 있게 운영되는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는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웨이모’가 유일하다. 테슬라는 6월부터 오스틴에서 첫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지만, 일론 머스크 CEO의 자율주행 관련 발언은 지속적으로 낙관적인 전망에 그쳐왔다.
업계 전문가들은 엔비디아와의 협력이 GM에게 스마트한 선택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GM이 얼마나 빠르게 미국 시장에 성과를 선보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 남기기